비인두암은 10만 명 당 1명 정도 발병하는 희귀 질환에 속합니다. 국내에서도 비인두암 발병자는 2014년 기준 340명 정도다. 다만 중국 남부 지방은 발병률이 세계 평균보다 3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중국 남부 지방은 ‘엡스타인-바 바이러스’가 세계적으로 높은 지역 중 하나이자 비인두암 발병률이 높아 어느 정도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추측됩니다.
다만 미국으로 이주한 중국인 2세의 경우 발병률이 낮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인종적인 요인 외에 음식, 환경 등도 주요 원인으로 예측됩니다. 그 중 바이러스 감염, 만성 코 염증, 불결한 위생환경, 비인두 환기저하, 소금으로 절인 음식물에 포함된 니트로사민과 음식물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다환 탄화수소와의 노출이 비인두암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답니다. 이밖에 흡연과 음주도 원인으로 꼽힙니다.

비인두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임파선 전이로 인한 경부 종물이랍니다. 이밖에 피가 섞인 콧물, 중이염으로 인한 한쪽 귀 먹먹함, 청력 저하, 코막힘 등을 들 수 있습니다. 특히 비인두암이 발병하는 비인두의 경우 뇌와 위치가 가까운데, 이로 인해 뇌신경을 침범해 뇌신경 마비, 복시 증상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답니다.
비인두암은 코 내시경을 통해 종괴를 확인하고 조직검사로 진달할 수 있습니다. 아울러 바이러스와 비인두암의 관련성에 근거, 바이러스 혈액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.

예방법은 일단 조기발견이 중요하며 비인두암 발생이 바이러스(Epstein-Barr Virus) 및 위생환경과 음식 등 연관 가능성이 보고,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신선한 과일과 채소섭취가 도움이 됩니다. 방사선치료는 일부 후유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 경우 구강건조증과 미각상실이 나타날 수 있어서 적절한 수분과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. 치료 후에는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를 해줘야 치아손실과 골수염 등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